맨위로가기

하녀 (2010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녀》(2010년 영화)는 임상수 감독의 작품으로, 한 젊은 여성이 상류층 가정의 하녀로 들어가면서 겪는 파격적인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는 자살 장면으로 시작하여, 하녀 은이가 주인 훈과 관계를 맺고 임신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해라의 모친은 은이에게 낙태를 강요하고, 결국 은이는 훈의 집에서 복수를 감행한다. 전도연, 이정재, 윤여정 등이 출연했으며,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2010년 국내 개봉작 중 흥행 10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상수 감독 영화 - 그때 그사람들
    2005년 개봉한 임상수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그때 그사람들》은 10·26 사건을 소재로 권력의 암투와 허망함을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나 법정 공방을 겪었다.
  • 임상수 감독 영화 - 행복의 나라로 (영화)
    《행복의 나라로》는 최민식, 박해일 등이 출연하고 2019년에 촬영을 시작하여 2020년 칸 영화제에 초청된 영화이다.
  • 대한민국의 에로 영화 - 바람난 가족
    임상수 감독의 2003년 영화 《바람난 가족》은 문소리와 황정민 주연으로, 부부의 불륜과 가족 내 갈등을 다루며 문소리의 열연과 파격적인 소재로 국내외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작품이다.
  • 대한민국의 에로 영화 - 오감도 (영화)
    오감도는 2009년에 개봉한 옴니버스 영화로, 다섯 명의 감독이 사랑을 주제로 연출한 다섯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대한민국의 스릴러 영화 - 그때 그사람들
    2005년 개봉한 임상수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그때 그사람들》은 10·26 사건을 소재로 권력의 암투와 허망함을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나 법정 공방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스릴러 영화 - 4인용 식탁
    인테리어 디자이너 정원이 타인의 트라우마를 보는 능력을 지닌 정연을 만나 어린 시절 트라우마와 죄책감으로 인한 비극적인 사건의 진실을 추적하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 《4인용 식탁》은 이수연 감독이 시체스 영화제와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하녀 (2010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원어 제목하녀
로마자 표기Hanyeo
감독임상수
제작자제이슨 채
각본임상수
원작김기영의 《하녀
출연전도연
이정재
윤여정
서우
음악김홍집
촬영이형덕
편집이은수
제작사Mirovision
CJ Venture Investment
Michigan Venture Capital
배급사싸이더스 FNH
개봉일2010년 5월 13일
상영 시간107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흥행 수익미화 1470만 달러
일본 정보
작품명하우스메이드
감독임상수
제작제이슨 채
제작 총지휘최평호
서범석
음악김홍집
촬영이형덕
편집이은수
배급사가가
일본 개봉일2011년 8월 27일
상영 시간107분
제작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심의 정보
등급KMRB: 청소년 관람불가
웹사이트하녀 공식 웹사이트

2. 줄거리

은이는 가정 형편이 좋지 않아 훈의 집에 하녀로 들어간다. 훈의 집에는 훈과 쌍둥이를 임신한 만삭의 해라, 그리고 딸 나미가 있었다. 은이는 선배 하녀 병식과 함께 하녀 생활을 시작한다.[1] 어느 날 밤, 은이는 훈과 하룻밤의 실수로 임신하게 된다.[1] 이 사실을 알게 된 해라의 어머니는 은이에게 낙태를 종용한다.[1] 해라의 어머니는 은이가 먹는 한약에 낙태 약을 넣고, 이를 복용한 은이는 복통과 함께 피를 토하며 쓰러진다.[1] 결국 은이는 아이를 잃게 되고, 이에 대한 복수를 결심한다.[1]

은이는 다시 훈의 집에 나타나 훈의 가족이 보는 앞에서 "나... 잊지 마"라는 말을 남기며 샹들리에에 목을 매달고 몸에 불을 붙인다.[1]

3. 등장 인물



영화는 주요 등장인물 간의 복잡한 관계와 심리 변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특히, 은이, 훈, 해라, 병식의 관계는 극의 중심축이며, 이들의 미묘한 감정 변화는 사건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1. 주요 인물


  • 전도연 : 은이 역
  • : 본작의 주인공으로, 하녀로서 훈의 저택에서 일하게 된다. 식당에서 일했으며, 번잡한 도시 거리에서 한 젊은 여성이 자살하는 것을 목격하고 절망한다. 훈의 은밀한 유혹으로 성관계를 맺고 임신까지 하게 되지만, 훈의 장모인 미희의 계략으로 계단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한다. 이후 해라와 미희에게 낙태를 강요당하고, 복수를 결심한다.
  • 이정재 : 훈 역
  • : 은이가 일하는 저택의 주인으로, 돈 많은 신사이다. 은이에게 은밀하게 추파를 던지며 와인과 피아노 연주로 유혹하고, 결국 성관계를 갖는다. 이정재는 훈을 "다른 사람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척하면서 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이고 위선적인 인물"이라고 묘사했다.[3]
  • 윤여정 : 병식 역
  • : 훈의 저택에서 오래전부터 일하는 선배 하녀이다. 저택의 모든 것을 파악하고 있으며, 은이와 훈의 관계를 목격하고 해라의 어머니 미희에게 은이의 임신 사실을 알린다.
  • 서우 : 해라 역
  • : 훈의 젊은 아내로, 쌍둥이를 임신 중이며 6살 된 딸 나미가 있다. 남편의 불륜 사실을 알고 분노하지만, 어머니의 조언에 따라 이를 무시하려 한다. 하지만 결국 은이에게 낙태를 강요하고 독을 먹이는 등 악행을 저지른다.
  • 안서현 : 나미 역
  • : 훈과 해라의 딸이다. 은이와 점차 관계를 맺으며 마음을 열게 된다.
  • 박지영 : 미희 역
  • : 해라의 어머니로, 은이의 임신 사실을 알고 "사고"를 꾸며 은이를 계단에서 떨어뜨린다. 또한 해라에게 불륜을 무시하라고 조언하며, 은이에게 낙태를 강요하는 등 사건의 배후에서 악행을 주도한다.

3. 2. 조연

4. 제작 과정

이 영화는 서울에 기반을 둔 회사인 미로비전에서 제작했다.[6]

4. 1. 각본 및 연출

김수현이 각본의 초기 초고를 썼지만, 임상수 감독이 각본을 대폭 수정하면서 김수현은 이를 완전히 임상수의 작품으로 간주하고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4] 임상수는 1960년 김기영 감독의 영화 ''하녀''의 몇 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현대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기 위해 제작 과정에서 원작을 떠올리지 않으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두 버전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원작이 중산층을 배경으로 하는 반면, 리메이크작은 극단적인 상류층 환경을 배경으로 한다는 것이다. 임상수는 1960년경 한국의 사회 구조를 설명하면서, 당시 한국의 중산층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많은 가난한 사람들이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하여 일했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들은 부자뿐만 아니라 중산층을 위해 봉사하는 하녀가 되었고, 이 문제는 김기영의 작품의 기초가 되었다. 50년 만에 ''하녀''를 다시 작업하면서 깨달은 점은 이제 훨씬 더 많은 부자들이 있고, 백만장자들이 있다는 것이다. ... 나는 평범한 가정의 주부들도 힘든 일을 해야 하는 현실을 묘사하고 싶었다."라고 덧붙였다.[5]

임상수는 집의 디자인이 2010년대에 전 세계 부유층이 즐기는 "전통적인 유럽 스타일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며 "나는 그들이 진정으로 이 삶을 즐기는지 아니면 과시하기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라고 말했다.[3] 영화에서 때때로 사용되는 부감 샷에서, 크고 화려한 샹들리에는 은이가 일하는 부르주아 가족을 내려다보는 관찰자이며, 영화의 여주인공의 극적이고 비극적인 결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샹들리에는 실제로 예술가 배영환이 제작한 2008년 작품 "바쿠스 찬가"의 복제품이다. ''하녀''에 샹들리에를 포함하기로 한 결정은 매우 의도적인 것이었다. 언뜻 보면 우아한 아르 누보 공예품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녹색 유리 조각이 깨진 와인과 소주 병의 날카로운 파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 속 상류층 가족들은 언뜻 우아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녀의 마음을 짓밟을 정도로 이기적이고 잔인하다.[7]

임상수는 초반 자살 장면에 대해 한국에서의 자살의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었고, 관객들은 첫 번째 자살의 상황을 알지 못하다가 주인공의 자살처럼 된다는 것을 언급했다. 즉, 일반 대중은 자살에 대해 알게 된 후 그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고 말했다.[3]

임상수는 생일 파티 장면에 대해 "관객들이 [나미]가 과연 그런 사건에서 진정으로 치유될 수 있을지 궁금해하길 바랐다"고 말했다.[3] 그는 영화 프로듀서가 이 장면 삭제를 요청했지만 실패했고 "마지막 장면을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있었다"고 덧붙였지만, 마지막 장면이 삭제되었다면 영화는 "그저 그랬을 것"이라고 말했다.[3]

영화에는 전도연의 허벅지 위쪽에 큰 흉터나 화상을 보여주는 두 장면이 있다. 임상수 감독은 "전도연 씨에게 실제로 그 부위에 흉터가 있고, 촬영 전에 영화에 노출 장면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저에게 그 흉터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저는 흉터에 대해 전혀 문제가 없었고, 촬영에도 문제가 없었지만, 촬영이 진행되면서 흉터가 영화 속의 생각들과 매우 잘 어울린다고 느꼈고, 그래서 흉터에 특히 초점을 맞춘 몇몇 장면이 있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지울 수도 있었지만, 전도연 씨와 상의했고, 우리는 흉터가 영화와 너무 잘 어울려서 유지해야 한다고 동의했습니다."라고 밝혔다.[8]

4. 2. 미술

영화 속 집 디자인은 2010년대 전 세계 부유층이 즐기는 "전통적인 유럽 스타일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다. 임상수는 "나는 그들이 진정으로 이 삶을 즐기는지 아니면 과시하기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라고 말했다.[3] 영화에서 때때로 사용되는 부감 샷에서, 크고 화려한 샹들리에는 은이가 일하는 부르주아 가족을 내려다보는 관찰자이다. 이 샹들리에는 영화 여주인공의 극적이고 비극적인 결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부 묘사가 살아있는 이 샹들리에는 실제로 예술가 배영환이 제작한 2008년 작품 "바쿠스 찬가"의 복제품이다. ''하녀''에 샹들리에를 포함하기로 한 결정은 매우 의도적인 것이었다. 언뜻 보면, 이 조명 기구는 우아한 아르 누보 공예품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녹색 유리 조각이 깨진 와인과 소주 병의 날카로운 파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의미에서, 영화 속 상류층 가족들은 언뜻 우아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녀의 마음을 짓밟을 정도로 이기적이고 잔인하다.[7]

4. 3. 기타

각본의 초기 초고는 김수현이 썼지만, 임상수 감독이 각본을 대폭 수정하면서 김수현은 임상수의 작품으로 간주하고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4] 이 영화는 김기영 감독의 1960년 영화 하녀의 몇 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임상수는 현대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두 영화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원작이 중산층을 배경으로 하는 반면, 리메이크작은 상류층을 배경으로 한다는 것이다. 임상수는 1960년경 한국의 사회 구조를 설명하면서, 당시 한국의 중산층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많은 가난한 사람들이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하여 일했다고 말했다. "여성들은 부자뿐만 아니라 중산층을 위해 봉사하는 하녀가 되었고, 이 문제는 김기영의 작품의 기초가 되었다. 50년 만에 ''하녀''를 다시 작업하면서 깨달은 점은 이제 훨씬 더 많은 부자들이 있고, 백만장자들이 있다는 것이다. ... 나는 평범한 가정의 주부들도 힘든 일을 해야 하는 현실을 묘사하고 싶었다."라고 밝혔다.[5]

임상수는 집 디자인이 2010년대 전 세계 부유층의 "전통적인 유럽 스타일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다고 말했다.[3] 영화에서 사용되는 부감 샷에서 크고 화려한 샹들리에는 은이가 일하는 가족을 내려다보는 관찰자이다. 이 샹들리에는 영화 여주인공의 비극적인 결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샹들리에는 예술가 배영환이 제작한 2008년 작품 "바쿠스 찬가"의 복제품이다. ''하녀''에 샹들리에를 포함하기로 한 결정은 의도적인 것이었다. 언뜻 보면 우아한 아르 누보 공예품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녹색 유리 조각이 깨진 와인과 소주 병의 날카로운 파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 속 상류층 가족들은 언뜻 우아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녀의 마음을 짓밟을 정도로 이기적이고 잔인하다.[7]

임상수는 초반 자살 장면에 대해 한국에서의 자살의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었다고 언급했다. 관객들은 첫 번째 자살의 상황을 알지 못하다가 주인공의 자살처럼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즉, 일반 대중은 자살에 대해 알게 된 후 그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3]

임상수는 생일 파티 장면에 대해 "관객들이 [나미]가 과연 그런 사건에서 진정으로 치유될 수 있을지 궁금해하길 바랐다"고 말했다.[3] 영화 프로듀서가 이 장면 삭제를 요청했지만 실패했고, "마지막 장면을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마지막 장면이 삭제되었다면 영화는 "그저 그랬을 것"이라고 말했다.[3]

영화에는 전도연의 허벅지 위쪽에 큰 흉터를 보여주는 두 장면이 있다. 임상수 감독은 "전도연 씨에게 실제로 그 부위에 흉터가 있고, 촬영 전에 영화에 노출 장면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저에게 그 흉터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저는 흉터에 대해 전혀 문제가 없었고, 촬영에도 문제가 없었지만, 촬영이 진행되면서 흉터가 영화 속의 생각들과 매우 잘 어울린다고 느꼈고, 그래서 흉터에 특히 초점을 맞춘 몇몇 장면이 있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지울 수도 있었지만, 전도연 씨와 상의했고, 우리는 흉터가 영화와 너무 잘 어울려서 유지해야 한다고 동의했습니다."라고 밝혔다.[8]

5. 평가

《하녀》는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흥행에도 성공했다. 국내 개봉 첫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고, 전국적으로 22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다.[9][12] 2010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으며,[13] 미국, 라틴 아메리카 등 해외에서도 배급되었다.[14][15]

5. 1. 비평

''할리우드 리포터(The Hollywood Reporter)''의 매기 리는 이 영화를 "상류 사회에 대한 풍자가 때로는 클로드 샤브롤의 ''고백(La Cérémonie)''만큼이나 잔혹한 불타는 듯한 섹시한 드라마"라고 평했다. 그러나 리는 또한 영화에 몇 가지 두드러진 결함이 있다고 지적했다. "플롯 전개는 눈에 띄게 멜로드라마적"이며 "전도연의 절제된 연기에도 불구하고 은이의 캐릭터는 문제가 있다...[그녀의] 행동의 동기가 부재한 것은 실제로 설득력이 없다".[16] ''코리아 타임스(The Korea Times)''의 이효원은 임 감독에 대해 극찬하며, 임 감독이 "흥미진진하고 생동감 넘치는 캐릭터와 정교하게 짜인 멜로드라마로 맥박치는 섹시하고 매끄럽게 엮인 영화"를 만들었다고 말했다.[17] 2014년에는 다른 한국 영화인 ''친절한 금자씨''와 함께 타임지(Time (magazine))가 선정한 "여성 복수 영화 12선"에 선정되었으며, 리뷰에서 "음울하고 번뜩이는 하녀는 보는 이의 응원 대상에 대한 긴장의 실크 실을 죄어, 은이가 고문자들에게 가하는 처절한 복수까지 이어진다"고 평했다.[18]

KPBS의 베스 아코만도는 이 이야기를 "공공연한 폭력은 드물지만 무자비한 조작과 사람들에 대한 냉담한 무관심이 흔한, 유혹적이고 불안한 스릴러"라고 묘사했다.[19]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는 7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평론가들의 70%가 영화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6.74/10이라고 보고했다.[20] 메타크리틱에서 이 영화는 21명의 평론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68점을 받아 "일반적으로 호평"을 받았다.[21]

5. 2. 흥행

《하녀》는 2010년 5월 13일 대한민국에서 개봉했다. Sidus FNH에 의해 배급되어 679개 스크린에서 개봉했으며, 개봉 첫 주말에 570만달러에 해당하는 수익을 올리며 박스 오피스 차트 1위를 차지했다.[9] 상영관 수는 2주차 이후 520개로 줄어들었고, 드래곤 길들이기에 밀려 차트 2위로 떨어졌다.[10] Box Office Mojo는 이 영화의 국내 시장 총 수익을 14075390USD로 보고했다.[11] 이 영화는 전국 2,289,709명의 관객을 동원하여 그 해 국내 개봉작 중 10위를 기록했다.[12] 국제 시사회는 2010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서 5월 14일에 열렸다.[13] 미국 배급권은 IFC Films에 인수되었으며, 2011년에 개봉했다.[14] 라틴 아메리카 배급권은 Energia Entusiasta에 인수되었다. 이 영화는 라틴 아메리카의 Amazon Prime Video에서 볼 수 있다.[15]

6. 수상 및 후보

영화 《하녀》 수상 및 후보 목록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 및 후보결과
20102010 칸 영화제황금종려상임상수후보
겐트 영화제조르주 들뤼르 상김홍집수상
18회 춘사영화상여우조연상윤여정수상
19회 부일 영화상수상
제47회 대종상최우수 작품상하녀후보
감독상임상수후보
여우주연상전도연후보
여우조연상윤여정수상
서우후보
의상상최세연후보
제31회 청룡영화상최우수 작품상하녀후보
감독상임상수후보
여우주연상전도연후보
여우조연상윤여정수상
미술상이하준수상
시네마닐라 국제 영화제감독상임상수수상
여우조연상윤여정수상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여우주연상전도연후보
여우조연상윤여정수상
서우후보
미술상이하준후보
음향상이상준, 김석원, 박주강후보
음악상김홍집후보
11회 부산 영화평론가 협회상여우주연상윤여정수상
2011제5회 아시아 영화상여우주연상전도연후보
최고 인기 여배우상수상
여우조연상윤여정수상
의상상최세연후보
제31회 판타스포르토 감독 주간최우수 작품상 - 마노엘 데 올리베이라 상하녀수상
남우주연상이정재수상
여우주연상전도연수상
제2회 서울문화예술대상수상
제8회 맥스무비 영화상여우주연상윤여정후보
여우조연상수상


참조

[1] 웹사이트 Box office by Country: ''The Housemaid'' https://www.boxoffic[...] 2012-06-04
[2] 웹사이트 'Housemaid' Director Delights in Cannes Invitation http://english.donga[...] 2014-01-24
[3] 웹사이트 TIFF 2010: THE HOUSEMAID (HANYO, 2010): Interview With Im Sang-Soo & Lee Jung-jae http://twitchfilm.co[...] Screen Anarchy 2020-12-21
[4] 웹사이트 Jeon Do-yeon Cast in ''The Housemaid'' https://www.koreatim[...] 2010-06-09
[5] 웹사이트 Im Sang-soo says Jeon Do-youn is 'full-fledged artist' http://www.asiae.co.[...] 2010-06-08
[6] 웹사이트 The Housemaid http://www.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2010-06-08
[7] 웹사이트 Bae Young-whan spotlights Korean social woes http://koreajoongang[...] 2012-04-19
[8] 웹사이트 Hangul Celluloid's one-on-one interview http://www.hangulcel[...] 2022-01-29
[9] 웹사이트 Cannes' ''Housemaid'' Cleans up in Korea https://www.variety.[...] 2010-06-08
[10] 웹사이트 South Korea Box Office, May 21–23, 2010 https://www.boxoffic[...] 2010-06-08
[11] 웹사이트 South Korea Box Office, June 25–27, 2010 https://www.boxoffic[...] 2010-07-20
[12] 웹사이트 Korean Movie Reviews for 2010 http://www.koreanfil[...] 2012-06-04
[13] 웹사이트 The Screenings Guide http://www.festival-[...] 2010-06-08
[14] 웹사이트 IFC Films books 'The Housemaid' https://www.hollywoo[...] 2010-07-19
[15] 웹사이트 Prime Video: The Housemaid (2011) https://www.primevid[...]
[16] 웹사이트 The Housemaid -- Film Review https://www.hollywoo[...] 2010-10-14
[17] 웹사이트 Housemaid is sexy, stylish, pulsating https://www.koreatim[...] 2010-05-06
[18] 웹사이트 A Woman Scorned: The Top 12 Female Revenge Movies https://time.com/786[...] Time 2016-05-21
[19] 웹사이트 Review: 'The Housemaid' https://www.kpbs.org[...] KPBS 2021-02-22
[20] 웹사이트 The Housemaid (2011) https://www.rottento[...] Fandango 2020-01-04
[21] 웹사이트 The Housemaid (2011)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0-01-04
[22] 웹사이트 OFFICIAL SELECTION 2010 http://www.festival-[...] 제63회カンヌ国際映画祭 2011-08-15
[23] 웹사이트 5th AFA Nominees & Winners by Film http://www.asianfilm[...] 아시아・フィルム・アワード 2011-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